일본 문부과학성은 출판사 3곳이 쓴 3~6학년용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검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의 교과서 검정제도는 민간 업체가 초중고 교과서를 제작하면, 주무부처인 일본 문부과학성이 이를 심사해 사용 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제도입니다. <br /> <br />1947년, 미군정은 당시 2차 대전 패전국이던 일본을 통치했는데, 과도한 군국주의적 교육을 막기 위해 교과서 검정 제도를 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교과서 검정 결과도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하는데요. <br /> <br />처음엔 과거의 잘못을 포장하듯 순화된 표현으로 바꾸더니, 해를 거듭할수록 왜곡이 대담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'조선 침략'을 '진출'로 바꾸거나, 3·1운동을 '폭동'이라고 기술하고, <br /> <br />많은 한국인이 강제징용 또는 징병되었다"는 내용에서 '강제징용'이라는 표현 등이 삭제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05년엔 역사 왜곡에 이어서 독도의 영토표기 문제까지 새롭게 불거졌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나카야마 나리아키 문부상이 일본 '학습지도요령'에 독도를 일본 영토로 명기할 것을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국 정부의 반발로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, 2009년, 결국 일본은 고등학생에게 일본의 독도 영유권을 가르치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그 이후로도 2010년과 2011년 초등학교, 중학교 교과서까지 독도는 일본 영토라는 주장을 담은 검정 결과를 발표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12년 2차 아베 정권 출범 이후 일본 교과서는 독도 영유권 주장을 노골화하기 시작하는데, <br /> <br />급기야 2015년 교과서 검정부터는 한 술 더 떠서, 아예 독도는 일본의 '고유' 영토라는 주장을 명시합니다. <br /> <br />한국이 불법 점령한 것이라고 가르치기 시작한 거죠. <br /> <br />심지어 작년엔 고등학교 2학년 이상이 사용하는 교과서에 '일본군 위안부'등의 표현과 '강제 연행'이라는 표현이 대거 삭제됐는데, 올해도 마찬가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독도 영유권 주장은 강화하고, 강제 징용과 관련해서는 '강제성'을 희석시켰는데요. <br /> <br />일본 교과서 검정 발표는 해마다 한일 관계에 상수 같은 악재로 작동했지만, 이번엔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해법 발표 등 관계 개선에 전향적으로 나선 직후라 더욱 우려가 컸죠. <br /> <br />하지만 결국 일본이 또 한 번 후퇴한 역사 인식을 드러내면서 국내 비판 여론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32815492067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